현재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금 ETF 순위 TOP 3 를 정리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절세계좌를 이용하는 분들을 위해 한국 금 ETF 종목 그리고 미국 금 ETF 종목 각각 다루고 어떤 종목이 더 우세할지 비교해서 말씀드릴게요. 금 관련 ETF 종목의 차트 및 시세, 단점 등을 모두 알아가시기 바랍니다.
국내 금 ETF 상품을 투자할 계획이라면 절세계좌인 ISA 및 IRP 등 계좌를 이용해 보시는 걸 적극 추천드립니다.
절세계좌 3개 비교 및 추천금 ETF 가격이 올라가는 이유
요즘 금 값이 무섭게 치고 올라오고 있죠. 그 원인이 무엇인지 제대로 아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겁니다. 금 값이 오르는 이유는 크게 경제가 요동칠 때 그리고 금리가 변동할 때 오른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경제 불확실성: 경제 위기 혹은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안전자산인 금으로 옮겨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태초의 돈의 역할을 했던 것들이 바로 금이니까요.
-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 및 화폐 가치 하락을 동반한 위기가 찾아올 때 사람들은 금, 구리 등과 같은 원초적인 자산들에 투자를 합니다.
- 금리 변동: 미국의 금리가 오르고 내리고에 따라 금 값에도 큰 변화가 찾아옵니다. 금리가 하락하면 금의 수요가 늘어 가격도 함께 상승하게 됩니다.
- 달러 가치: 달러의 가치도 금리와 마찬가지의 역할을 합니다.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게되면 금의 가격은 반대로 올라가게 돼요.
한국의 금 현물 ETF에 투자한 분들이 미국 금 현물 ETF 상품보다 더 많은 수익을 가져갔습니다. 그 이유는 환율이 변화하고 시장의 수급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한 결과죠. 따라서 한국의 금 ETF 종목도 유심히 봐야 합니다.
금 ETF 순위 TOP 3(미국)
미국의 금 ETF 순위를 알아보겠습니다. ETF 종목을 얼마나 오래 가지고 있었는지 또는 현재 가치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금 ETF 순위가 결정됩니다.]
1. SPDR Gold Trust
대표적으로 SPDR 금 ETF 종목은 현재 시가총액 $72,923MM을 보유하고 있어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2등부터 10등까지 합쳐도 해당 시가총액은 따라올 수 없기 때문에 가장 대표적인 금 ETF 상품이라 할 수 있어요.
SPDR ETF 상품은 최근 1년간 26.94% 주가 상승률을 보였으며 그만큼 금의 값이 올라간 것을 의미합니다. 올해초 가격은 $190 언저리에서 현재 $242.10으로 올라왔습니다.
항목 | 내용 |
---|---|
명칭 | GLD |
거래 방식 | 현물 |
수익률(YTD) | 26.94% |
상장일 | 04년 11월 |
수수료 | 0.40% |
또 SPDR ETF 상품은 금을 현물로 보유하는 대표적인 ETF로 금의 값을 그대로 반영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급락하거나 급등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투자 전략에 따라 현물거래 또는 선물거래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되어 시가총액 2위인 IAU(iShares Gold Trust) ETF 종목도 마찬가지로 현물을 보유하고 있는 금 ETF 중 하나입니다. 동일한 현물거래 방식으로 수익률도 같기에 별도로 순위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SPDR ETF 자세히 보기시가총액은 $297.02MM으로 9위를 차지한 UGL ETF 상품입니다. 마찬가지로 금의 시세를 다루지만 현물을 보유하지 않은 채 거래하는 선물 방식입니다.
금 현물을 보유하지 않고, 선물 계약을 통해 거래하는 일일 변동 레버리지 ETF 상품입니다. 따라서 1년 수익률이현물에 비해 약 2배 높은 47.22%를 기록했습니다.
항목 | 내용 |
---|---|
명칭 | UGL |
거래 방식 | 선물,레버리지 |
수익률(YTD) | 47.22% |
상장일 | 08년 12월 |
수수료 | 0.95% |
과거 금 값이 많이 떨어진 22년부터 23년까지 20%가량 마이너스가 되었던 경험도 있기 때문에 선물 거래는 변동성에 취약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요.
또 수수료 측면에서 0.95%로 현물 거래 방식인 0.40%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 점도 인지하고 운용해야 합니다. 다만 단기간에 많은 하락을 보이지 않는 금 ETF 시장의 특성을 잘 이용하면 좋은 투자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UGL ETF 자세히 보기3. Invesco DB Precious Metals Fund
명칭은 DBP ETF로 현재 시가총액 $168.60MM으로 10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금 현물 거래 방식이 아닌 선물 거래 옵션으로 추가로 금과 은의 선물 계약을 동시에 진행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현재 1년 기준으로 $50에서 $63.20로 이동하며 총 26.81%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은의 변동성은 금보다 낮기 때문에 여러 위험에서 헤지 역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항목 | 내용 |
---|---|
명칭 | DBP |
거래 방식 | 금&은 선물 |
수익률(YTD) | 26.81% |
상장일 | 07년 1월 |
수수료 | 0.77% |
금을 선물로 가져가고 싶지만 조금 더 안정적으로 운영해보고자 할 때 선택할 수 있는 옵션으로 DBP ETF 상품을 추천드립니다. 수수료는 현물 거래보다 조금 높은 0.77%를 보여주며 현재까지 큰 변화없이 우상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금과 은이 차지하는 비중은 시장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지만 일반적인 비중은 금 75~80%, 은 20~25%를 차지하게 됩니다.
DBP ETF 자세히 보기금 ETF 순위 TOP 3(한국)
이제 한국의 금 ETF 순위를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금 ETF도 마찬가지로 현물 및 선물 거래로 나뉘게 되니 투자 성향에 따라 잘 선택해 보시기 바랍니다.
1. ACE KRX금현물
ACE KRX금현물 ETF 상품은 현재 시가총액 5,887억원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금 현물 ETF 상품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현재 1년 기준으로 40.02% 상승을 하였으며 금 거래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어요. 그만큼 금에 대한 수요가 우리나라에서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항목 | 내용 |
---|---|
거래 방식 | 현물 |
수익률(YTD) | 40.02% |
상장일 | 21년 12월 |
수수료 | 0.62% |
상장일은 얼마지나지 않았지만 현재 압도적 1위를 차지한만큼 우리나라의 금 현물 거래는 높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수수료는 미국보다 조금 더 높은 0.62%를 지불하게 됩니다.
ACE KRX금현물 자세히 보기2. KODEX 골드선물(H)
대표적은 한국 금 선물 거래로 환율 헤지를 적용한 KODEX 골드선물(H) ETF 상품은 두 번째로 거래량이 높습니다. 시가총액은 현재 1,722억원으로 꽤 높은 편에 속하죠.
최근 1년 기준으로 총 19.66%의 수익률을 보여주었습니다. 선물거래가 현물보다 상승률이 낮은 이유는 환헤지 비용 및 롤오버 비용 그리고 거래량 등의 원인으로 인해 현물 거래의 수익률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항목 | 내용 |
---|---|
거래 방식 | 선물 |
수익률(YTD) | 19.66% |
상장일 | 10년 10월 |
수수료 | 0.73% |
비교적 상장한지 오래된 ETF 상품으로 가격은 현재까지 큰 폭의 변화없이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수수료는 0.73%로 선물거래 평균 수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KODEX 골드선물(H) 자세히 보기3.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 H)
한국의 금 레버리지 ETF 상품으로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 H) ETF 종목은 현재 71억원의 시가총액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1년 기준으로 약 33.80%가 상승하였으며 최근에는 다소 부진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초 지수는 S&P GSCI Gold Excess Return Index를 추종하며 일일 수익률의 2배로 추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항목 | 내용 |
---|---|
거래 방식 | 선물,레버리지 |
수익률(YTD) | 33.80% |
상장일 | 15년 07월 |
수수료 | 0.77% |
국내에서도 금 선물 레버리지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단기적인 투자에 적합한 ETF 상품입니다. 만기 시 롤오버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 점, 파생상품 특성상 신용 리스크도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 H)금 ETF 종목 전망
금 ETF 상품은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는 것보다 안전자산에 치중해서 보유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금리 인하 및 글로벌 경제 둔화 등으로 인한 손실을 헤지하는 방면으로 금 ETF 상품이 좋기 때문입니다.
금 현물 ETF 가격도 미국보다 한국에서 더 크게 오른 이유는 달러 강세 및 시장 수요 변화 등이 있어요. 한국에서 특히 금을 더 중요시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죠. 이 밖에도 세금이나 한국 금 시장의 변화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2025년에 경제가 어떻게 변화할지 모르겠지만 한국의 시장이 나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최근 각종 사건 사고들로 외국인 투자자가 많이 철회한 상황에서 용기있는 자만이 더 많은 차익을 남길 수 있다고 판단이 되기 때문이죠.
이와 관련하여 다른 투자 내용도 남겨드릴테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 AI ETF 1~3위 추천, 총보수 및 분배금 수익률 비교
- 국내 월배당 ETF 순위 TOP 5, 추천 종목 비교 2025
- ESS 관련주 TOP 5 추천 | 에너지저장장치 뜻 전망
- 미국 배당주 ETF 순위 TOP 3, 수익률 총보수 비교 2025
금 ETF FAQ
금 ETF 어떤 경우에 투자하기 좋은가?
금은 인간에게 있어서 태초의 지폐와 같습니다.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평가받죠. 장기적으로 자산의 변동성을 방어하고 인플레이션을 대비하고자 하는 분들이 투자하기 좋습니다.
금 ETF 투자 단점은 무엇이 있나?
금 가격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금리 환율 달러가 있으며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야 하는 점에서 머리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ETF 특성상 수수료가 높은 편이며 선물 기반의 ETF 상품은 별도로 롤오버 비용 및 환율 위험이 존재하니 주의가 필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