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A ISA 차이 그리고 각 계좌의 장단점과 혜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다양한 통장들이 넘쳐나고 혜택도 다 다르기 때문에 전부 다 기억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ISA 및 CMA 그리고 IRP 등 세액공제나 비과세 혜택 등 어떤 계좌를 내가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 알아가 보시기 바랍니다.

CMA ISA 차이 관련하여 이미 CMA 계좌에 대해서는 잘 알고있다면 아래 글을 우선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절세계좌 ISA IRP 연금저축 비교

CMA ISA 뜻

주식거래 계좌는 CMA 및 ISA, IRP 그리고 연금저축 등이 있습니다. 요즘 주식계좌는 주식거래+CMA+ISA 혹은 IRP+개인연금 등 종합적으로 묶은 상품들이 많아요.

CMA ISA 차이
ISA + 국내/해외주식 + CMA 계좌 예시

실제로 한국투자증권에서 개설이 가능한 계좌로 ISA의 절세혜택 및 CMA의 입출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만능통장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개설하면 별도의 계좌로 운용된다는 점을 알고 계셔야 해요. 이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총 5가지 계좌 특성을 자세히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은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자산관리계좌‘에 속하는 CMA 및 ISA 계좌의 경우 목적은 같지만 이를 활용하는 수단은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CMA 통장의 경우 은행의 예금과 비슷한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통장에 노는 돈을 넣어두면 증권사에서 알아서 해당 금액으로 비교적 안전한 투자를 진행합니다. 이때 CMA 통장은 입출금 및 카드 그리고 통장개설까지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은행 계좌와 다를게 없죠.

반면 ISA 계좌는 내가 직접 투자를 진행해야 합니다. 주식거래 혹은 ETF, RP 등 거래를 진행하여 얻은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을 감면받는 통장이 바로 ISA 계좌입니다.

CMA ISA 차이 3가지

CMA ISA 계좌의 차이 3가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비과세 혜택 차이

ISA 계좌는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 계좌의 경우 매매차익 및 배당소득에 대해 200만원 비과세가 적용되며 서민형의 경우에는 4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계좌절세혜택
ISA비과세 및 분리과세 + 세액공제
CMA없음

ISA 계좌 비과세 혜택은 손익통산 개념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내가 1년동안 300만원의 수익과 90만원의 손해를 본 경우 손익통산 총 금액은 300-90 = 210만원 이익이 됩니다. 따라서 비과세 한도 20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10만원에 대해서만 9.9% 분리과세를 납부하게 돼요.

  • ISA 비과세 혜택 : 200 ~ 400만원
ISA 비과세 혜택 자세히 보기

반면 CMA 계좌는 별도의 절세 혜택이 없으며 일반 계좌와 마찬가지로 매매차익에 대해 이자소득세 15.4%를 납부하게 됩니다.

2. 투자 주체 차이

ISA 계좌의 경우 중개형, 일임형, 신탁형 세 가지 계좌로 나뉩니다.

  • 중개형: 개인이 직접 투자
  • 일임형: 증권사에 투자 전체를 일임
  • 신탁형: 내가 짠 포트폴리오에 따라 증권사에서 투자

이 중에서 중개형 ISA 계좌가 전체의 90%가 넘을정도로 대부분이 개인이 직접 투자하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신탁형 및 일임형은 수수료가 발생하며 원금을 보장받지 못하기 때문에 선뜻 선택하지 못하는 이유도 있어요.

중개형 ISA 계좌를 운용하는 주체는 나 자신인 반면, CMA 계좌는 개설한 증권사에서 투자를 진행하게 됩니다.

계좌투자 주체
ISA개인이 직접 투자(중개형)
CMA증권사에서 자동 투자

CMA 통장은 증권사에서 나의 자산을 가지고 최대한 안정적인 자산에 투자를 진행하며 투자 대상에 따라 계좌 종류가 달라집니다. 그중 가장 높은 수익률은 어음형이며 그 다음으로는 MMF 및 종금형 CMA 입니다.

CMA 계좌 종류 및 특징 살펴보기

3. 입출금 차이

어떻게보면 CMA ISA 차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입출금인데요. CMA 계좌의 경우 입출금이 자유로우며 일반 은행계좌처럼 통장 및 카드 발급이 가능한 반면 ISA 계좌는 1년 입금 한도가 2,000만원으로 정해져 있기에 출금도 자유롭지 못합니다.

또한 ISA 계좌는 3년의 최소 가입기간이 있으며 만약 3년이 되지 않은 시점에서 해지를 진행하면 절세혜택을 포기하고 15.4%의 일반소득세를 납부해야 해요.

ISA 계좌 중도인출에 대한 글을 통해 더 자세한 정보를 알아가실 수 있습니다.

계좌입출금
ISA입금 시 2,000만원 한도, 출금 시 입금한도 차감
CMA입출금 한도 없으며 자유로움

CMA + ISA + 주식거래 계좌

앞서 말씀드린 CMA + ISA + 주식거래가 합쳐진 통장의 경우 절세혜택 및 투자 그리고 파킹통장의 특징을 모두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CMA ISA 차이 종합통장
주식거래 + ISA + CMA 통장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해당 상품은 모든 혜택이 합쳐진 종합통장이 아닌 개별통장으로 운용이 됩니다.

즉 해당 상품을 개설하면 ISA 계좌 및 CMA 계좌 그리고 국내/해외 주식계좌 3가지가 개설되는 경우예요. 계좌번호의 앞번호는 일치하지만 뒷번호가 다른 형태로 개설이 됩니다.

543543
계좌번호 예시

물론 세 가지 통장이 모두 필요한 경우에는 계좌번호가 앞자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관리하기 더 수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외주식을 구매하는 경우, 국내 절세계좌 혜택을 받는 경우 및 파킹통장의 역할을 하는 CMA 계좌도 동시에 운용하실 분들은 해당 종합계좌 개설을 추천드려요.

나에게 맞는 계좌 추천

CMA ISA 차이 비교를 통해 나에게 맞는 계좌를 확인해 보셨나요? 저 같은 경우에는 투자를 안하는 사람이라도 ISA 계좌는 필수라고 생각을 합니다. 본인에게 맞는 계좌를 투자 성향에 따라 알아가 보시기 바랍니다.

투자 성향 0인 경우

투자에 대해 전혀 모르거나 의욕이 없으신 분들은 CMA 통장 및 IRP 통장을 추천드립니다.

CMA 통장은 돈만 넣어놔도 알아서 이자를 지급해주기 때문에 별도 관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저 CMA 통장 특징에 대한 글만 참고해 보셔도 괜찮아요.

IRP 통장은 안정적인 투자를 장려하는 개인퇴직연금통장으로 꾸준히 조금씩 적립하는 개념으로 운용하면 세액공제 혜택 및 노후자금 마련도 가능합니다. 세금을 절약하면서 IRP 안전자산 ETF에 자산을 쌓아보시기 바랍니다.

투자 성향 1~2인 경우

투자에 대해 조금 알거나 배워볼 의지가 있으신 분들은 ISA 계좌 및 연금저축계좌를 추천드립니다.

ISA 계좌는 초보 투자자에게 아주 좋은 연습장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 주식계좌와 달리 손익통산 후 세금을 측정하기 때문에 1년 기준으로 손해가 들쑥날쑥해도 괜찮습니다.

연금저축계좌는 IRP 계좌와 달리 중도인출이 용이합니다. 또한 안전자산에 투자할 필요가 없이 온전히 개인이 하고싶은 투자를 집중하여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요.

중도인출 쉬운 계좌

중도인출이 쉬운 계좌는 CMA 및 ISA, 연금저축계좌입니다. 단, CMA 계좌를 제외한 ISA 및 연금저축계좌는 내가 납입한 원금 내에서만 중도인출이 가능합니다. 또한 출금 시 납입한도가 줄어들게되니 이 점도 참고하여 이용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CMA ISA 차이 FAQ

두 계좌 모두 절세계좌인가?

절세계좌는 ISA 계좌만 해당되며 CMA 통장은 절세 혜택이 없으며 이자에 대한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따라서 ISA 계좌를 동시에 운용하여 투자 절세 혜택을 챙겨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CMA ISA 계좌 함께 사용이 가능한가?

일반 주식계좌에서는 CMA 통장과 통합하여 개설이 가능하지만 ISA 계좌는 CMA와 종합하여 사용이 불가합니다. 동시에 개설해도 뒷번호만 다른 개별 계좌로 만들어지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CMA ISA 차이 및 추천 계좌 등을 다루어 보았습니다. 더 궁금하신 내용은 아래 관련 링크 혹은 검색을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