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운용보수 정보에 대해 찾고 계시는 중이라면 이 글에서 설명하는 각 ETF 상품들의 운용보수에 대해 알아가 보시길 바랍니다. ETF 상품을 운용하는 회사에 따라 보수율이 다르고 각 상품마다 보수율이 다르기 때문에 투자를 하기 전 보수율 확인을 필수적으로 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ETF 운용보수란?

ETF 상품은 여러 지수들을 한곳에 모아 관리하는 상품입니다. 따라서 이를 관리할 때 발생되는 운용, 판매, 수탁, 사무관리, 기타비용 등이 운용보수에 해당합니다.

ETF 운용보수는 회사마다 다른데요. 대표적으로 삼성자산운용(KODEX), 미래에셋자산운용(TIGER), 한국투자신탁운용(ACE) 등이 있습니다.

ETF 운용보수는 평균적으로 0.07~0.1%로 이루어져 있으며, 퍼센트가 낮더라도 내가 보유하고 있는 ETF 비중이 높아질수록 그 금액도 커지게 되니 주의가 필요해요.

국내 ETF 순위 및 투자 방법

ETF 운용보수 총보수

총보수라는 의미는 모든 수수료를 합산한 운용보수를 말합니다. 총보수를 확인하지 않고 일부 수수료만 보고 저렴한 것으로 착각하여 구매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신경써야 합니다.

  • 총보수 : 운용 + 판매 + 수탁 + 사무관리 + 기타비용

결국 ‘진짜 운용보수율‘을 찾는 것이 중요한데요. 일반적인 증권앱, 증권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보수율은 진짜 보수율이 아닙니다. 예를들어 ‘TIGER 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 ETF‘ 상품을 네이버페이증권, 미래에셋 사이트에서 확인한 결과, 보수율은 모두 0.150%라고 나와있습니다.

반면 금융투자협회 공시실에서 직접 확인해보면 0.18%라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ETF 운용보수 미래에셋, 네이버 확인
미래에셋 ETF 사이트 총보수 확인
ETF 운용보수 총보수 계산
금융투자협회 총보수 확인

즉 기타비용인 (B) 항목이 여러 사이트에는 표기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를 전부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수율과 기타비용을 합친 TER 값을 확인해야 진짜 총보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ETF 운용보수 비교

진짜 운용보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앞서 말씀드린 금융투자협회 공시실을 이용해야 합니다. 해당 사이트는 국가산하기관인 금융투자협회에서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습니다.

1.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실 접속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실은 쉽게 검색해서 나오지 않기 때문에 해당 링크로 접속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실 메인화면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실 메인화면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실 바로가기

2. 펀드공시 > 펀드 보수 및 비용 접속

상단 메뉴 중 펀드공시 메뉴를 선택한 뒤 오른쪽에 위치한 펀드 보수 및 비용 > 펀드별 보수비용비교를 눌러주세요.

펀드별 보수비용비교
펀드별 보수비용비교

3. 펀드별 보수비용 비교 확인

직접 검색하기 전, 운용사를 선택하거나 기준일자, 펀드유형 등 다양한 세부항목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종목만 검색하고 싶을 땐 펀드명만 입력한 뒤 검색을 눌러주시면 원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

펀드별 보수비용 비교 확인
펀드별 보수비용 비교 확인

4. 원하는 펀드명 검색 후 비교

저의 경우 ‘국고채30년’을 검색한 결과 해당하는 ETF 상품들을 전부 확인해볼 수 있었습니다. 여기서 총보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오른쪽으로 스크롤을 이용해서 넘어가야 합니다.

국고채30년 검색결과
국고채30년 검색결과
종목별 총보수 비교
종목별 총보수 비교

TER 수치를 봐야 진짜 보수율을 알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관련하여 아래 링크로 접속하시면 곧바로 펀드별 보수비용 비교 페이지로 넘어가실 수 있으니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ETF 총보수 펀드별 비교

ETF 운용보수 계산 방법(언제 낼까)

ETF 상품의 운용보수율은 1년 기준 비율입니다. 따라서 1년에 한번만 납부하는 줄 아는 분들이 계시지만 사실은 1일마다 부과되는 수수료입니다.

예를들어 0.15%의 총보수율을 가진 ETF 상품을 구매하면 하루에 약 0.00041%를 지불하게 되는데요. 계산방법은 0.15% 나누기 365를 하면 됩니다.

  • 1년 총보수율 0.15% ÷ 365 = 0.00041% 하루 총보수율

즉 내가 구입한 ETF 상품의 금액이 2000만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하루마다 82원이 빠져나가게 돼요. 물론 여기서 추가로 구입하거나 판매하는 경우는 그 비율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ETF 구매 시 매매 수수료 확인

각 증권사 계좌에 따라 매매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퇴직연금계좌, 종합자산계좌 등이 해당되며 증권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0.01~0.05%의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 제가 이전에 작성한 글들을 참고하면 현재 매매 수수료가 얼마인지 참고해서 수수료가 없는 증권사를 이용하시는 것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IRP 증권사 수수료 비교 중개형 ISA 증권사 수수료 비교 연금저축펀드 수수료 비교

ETF 운용보수 비교 FAQ

ETF 운용보수는 언제 지불하는 건가?

ETF 상품을 구매하고 보유하는 시점에서 하루마다 운용보수 수수료가 빠져나갑니다. 이는 1년 기준 총보수율을 365일로 나눈 값으로 결정되며 보유하고 있는 금액에 따라 비율이 달라집니다.

직접 ETF 상품들을 하나씩 구매하는게 좋지 않나?

개인적으로 ETF 상품들을 모두 하나씩 구매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운용보수를 피할 수 있습니다. 다만 ETF 전문 자산운용사들은 모두 전문가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시로 해당 지수들을 확인하고 리밸런싱을 담당하게 됩니다. 따라서 개인이 투자를 진행할 때보다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이죠.

오늘은 ETF 운용보수 알아보는 방법과 총보수 뜻에 대해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추가로 더 궁금한 내용은 아래 관련링크, 검색을 통해 확인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