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계좌 ETF 추천 게시글을 찾고 계시다면 이 글에서 미국 및 해외 그리고 국내상장된 ETF 종류들까지 한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최신 기준으로 ETF 상품의 분배율 및 보수율을 확인하시고 어떤 상품을 가져가는게 좋을지 도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ISA 계좌
ISA 계좌는 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 개인형 종합자산관리계좌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만능통장으로 불리는 ISA 계좌는 비과세 혜택, 분리과세 혜택 또한 세액공제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ISA 계좌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시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ISA 계좌 총정리ISA 계좌 ETF 추천
ISA 계좌는 절세계좌에 해당하기 때문에 국내상장된 ETF 상품만 취급할 수 있습니다. 해외 ETF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ETF 사는법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미국S&P500
시가총액 1위를 차지하고 있는 ‘TIGER 미국S&P500‘ ETF 상품은 미국의 대표적인 기업들을 담고 있습니다.
구성종목은 엔비디아, 애플, 아마존 등이 있어요. 2024년 기준으로는 수익률이 총 42.93%가 될만큼 미국 기업들이 얼마나 강력한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현재 미국의 투자심리 상태는 포화상태이며 언제든 거품이 사라질 수 있다는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때문에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미국 ETF 상품은 투자율을 비교적 낮게 보유하고 있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는 미국S&P500 지수를 담은 각 운용사별 분배율과 보수율을 나타낸 표이니 참고하여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ETF명 | 수익률(1Y) | 보수율 | 분배율 |
---|---|---|---|
TIGER 미국S&P500 | 42.93% | 0.14% | 0.35% |
ACE 미국S&P500 | 42.85% | 0.14% | 0.33% |
KODEX 미국S&P500TR | 43.00% | 0.09% | – (재투자) |
RISE 미국S&P500 | 43.02% | 0.1% | 0.25% |
대체로 비슷한 보수율과 분배율을 보이지만 KODEX 미국S&P500TR의 경우 분배금이 없는 대신 곧바로 재투자를 진행하여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점이 차이가 있는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차이나 CSI300
미국과 더불어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기업이 바로 중국입니다. 중국의 기업은 낮은 생산비용으로 유명했지만 앞으로는 높은 기술력까지 갖추어 경쟁력이 강해질 것으로 보여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미국에 비해 중국 기업들의 평가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다는 평이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과 더불어 중국 ETF 상품에 대한 비중을 미국보다 소폭 올려 잡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ETF명 | 수익률(1Y) | 보수율 | 분배율 |
---|---|---|---|
TIGER 차이나CSI300 | 26.87% | 0.95% | 0.6% |
ACE 중국본토CSI300 | 27.70% | 0.92% | – (재투자) |
KODEX 차이나CSI300 | 28.02% | 0.22% | 2.4% |
RISE 중국본토CSI300 | 28.61% | 0.22% | – |
3. 미국 채권 ETF
미국채는 성장률이 낮다면 금리가 높으며 금리가 낮다면 성장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결국 안정적으로 운영이 가능한 ETF입니다. 따라서 공격적인 투자가 아닌 중장기적으로 성장이 목표이신 분들에게 추천드리는 종목이에요.
ETF명 | 수익률(1Y) | 보수율 | 분배율 |
---|---|---|---|
ACE미국30년국채액티브(H) | 3.55% | 0.1504% | 3.5% |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 | 3.78% | 0.0346% | 4.9% |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 7.86% | 0.1036% | 3.4% |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 | 3.36% | 0.1121% | – |
미국채는 국가채 중에서도 가장 신뢰도가 높은 채권입니다. 기준 금리와 관련하여 수익률이 변동되거나 분배율이 변경될 수 있으니 이점은 참고하여 투자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미국 채권 구매 방법 3가지ISA 계좌 비과세 늘리는 법
ISA 계좌의 경우 손익통산을 통해 이익인 부분에 대해서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ISA 계좌 유형에 따라 비과세 한도가 바뀌게 됩니다.
- 일반 ISA : 비과세 한도 200만원
- 서민형 ISA : 비과세 한도 400만원
비과세는 높을수록 현금이 생기는 것과 마찬가지기 때문에 서민형에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첫 ISA 계좌를 개설할 때 일반형으로 가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민형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서민형에 가입하기 위한 기준은 연 근로소득 5,000만원 이하이거나 연 사업소득 3,800만원 이하여야 가능해요. 해당 기준에 부합한다면 별도로 증권앱이나 사이트에 방문하여 신청을 진행해야 합니다.
ISA 계좌 서민형 전환 방법에 대해서 다룬 글을 참고하시고 바로 전환해 보시기 바랍니다.
ISA 계좌 ETF 투자 노하우
ISA 계좌의 경우 대표적으로 비과세 혜택 그리고 분리과세 혜택이 있지만 추가로 잘 모르는 혜택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세액공제 혜택인데요.
세액공제 혜택이란 근로자분들이 연말마다 진행하는 연말정산 시 내가 납부해야 하는 세액을 감면하여 돌려받는 환급액을 늘릴 수 있는 혜택이에요.
- IRP 및 연금저축 세액공제 : 최대 연 900만원
연금계좌의 세액공제 한도는 연 900만원을 넘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만기된 ISA 계좌의 금액을 연금계좌로 옮기면 최대 300만원을 추가로 세액공제 받을 수 있어요. 즉 최대 한도가 900만원이 아닌 1,200만원이 되는 것이죠.
이와 관련하여 ISA 세액공제 연 1200만원 받는 법 글에서 자세히 다루었으니 참고해보시고 추가로 세금을 감면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ISA 계좌 ETF 추천 FAQ
ISA 계좌로 구매 가능한 ETF는?
해외에 상장되어있는 ETF 상품의 경우는 절세계좌인 ISA 계좌를 통해서는 구매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해외 상장된 ETF 구매를 원한다면 별도로 일반 주식계좌를 개설해야 하며 해당 방법은 ETF 사는법 글에서 다루었으니 참고해보시기 바래요.
ISA 계좌 ETF 배당금 인출 가능할까?
ETF 상품의 특성상 월배당을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월마다 들어오는 배당금을 인출해도 괜찮지만 ISA 계좌의 납부 가능한 한도가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연말에 한번에 몰아서 인출하는 방법을 추천드려요. ISA 계좌 한도 초기화는 개설일 기준이 아닌 1년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관련된 내용은 ISA 배당금 인출 가능할까?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ISA 계좌 ETF 추천 및 계좌 특성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추가로 더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아래 관련된 링크를 찾아보거나 검색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찾아보실 수 있으니 참고바랍니다.